웹툰 업계, 위기 경보! 불법 해적들 배불리 돈 벌며 비웃는데… '솜방망이' 불법 사이트 처벌!

29.04.2025 13:59 Uhr – 13 Minuten Lesezeit
Von Stefan Dreher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저작권 침해와의 전쟁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박전성 IP권리 총괄(이름 미확인)은 데일리안과의 인터뷰에서 그가 이끄는 강력한 불법 웹툰·웹소설 유통 단속 전담 조직 'P.CoK(피콕)'이 어떻게 불법 유통을 단속하고 있는지를 밝혔습니다.

IP 팀을 이끄는 박 총괄은 카카오가 "디지털 불법 유통과의 싸움 최전선에 있는 엘리트 전문가 집단"으로 여기는 P.CoK을 지휘하고 있습니다. 데일리안과의 인터뷰에서 박 총괄은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특정 사이트의 저작권 침해를 확인하고 폐쇄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4단계 절차로 대응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서 그는 "이 과정을 통해 얻는 정보는 다양한 단서와 패턴을 담고 있어, 기계적인 분석만으로는 불가능하며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이곳에 축적된 노하우와 경험이 국내외 콘텐츠 기업의 대응과 차별점을 만든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데이터를 훔치는 해적들에게 맞설 비장의 무기! 카카오가 불법 다운로드를 추적하는 방법!

2023년, 카카오는 불법 복제에 맞설 몇 가지 전략을 공개했습니다. 바로 "워터마킹, 이미지 인식, 그리고 사용 패턴 분석"입니다. 국제 첩보 팀은 불법 복제물들이 각기 다른 국가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가명을 밝혀냅니다. 카카오에 따르면, "콘텐츠 해적들은 종종 작품의 이름을 바꾸고 비공개 초대 전용 커뮤니티에 숨기며, 여러 개의 이름을 동시에 사용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심지어 카카오의 탐정들은 이런 비밀 서클에 잠입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토호나 애니플렉스와 같은 다른 주요 업체들도 '귀멸의 칼날', '주술회전'과 같은 자신들의 스트리밍 히트작이 X(구 트위터)에 공개되기도 전에 워터마크를 이용해 추적합니다.

이들은 심지어 X 사용자들의 신원을 확보하기 위해 법적 절차까지 밟았습니다. 웹툰(WEBTOON)은 작품 속에 보이지 않는 코드를 숨겨두고, 첨단 추적 소프트웨어인 "툰 레이더"로 이를 추적합니다.

박 총괄은 P.CoK이 악성 불법 굿즈(위조 상품)에도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강조합니다. 왜냐하면 제품의 글로벌 수익원이 미리 고갈되면 "전체 콘텐츠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훼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터무니없는 판결! 해적 보스는 솜방망이 처벌에 비웃음! 카카오, 이제 더 강력한 법을 요구한다!

최근, 초대형 불법 복제 사이트 '아지툰' 운영자는 또다시 터무니없는 징역 2년과 고작 약 5만 달러 상당의 벌금형을 선고받았습니다. 박 총괄은 분노를 표했습니다:

"저작권 침해를 처벌하는 법적 장치가 있지만, 불법 웹사이트 운영자에 대한 처벌은 미미하고 사이트 차단 조치는 쉽게 우회되어 문제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저작권법 및 정보통신망법 개선을 통해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를 도입하고 범죄 수익 몰수 제도를 강화해야 합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한국 웹툰 및 웹소설 사업의 거대한 플레이어입니다. '나 혼자만 레벨업'과 '그녀가 공작저로 가야 했던 사정'과 같은 히트작들이 카카오페이지와 그 영어판 자매 서비스인 타파스(Tapas)를 통해 서비스되고 있습니다. 모회사인 카카오(Kakao Corporation)는 또한 2023년 디지털 만화 및 코믹 서비스 분야에서 압도적인 선두 주자인 일본의 픽코마(Piccoma)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구글을 향한 수백만 달러 규모의 소송! 카카오, 콘텐츠 도둑들에 대한 강력한 조치!

첨단 기술 방식 외에도,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법적 권한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습니다. 구글의 DMCA 양식을 최대한 활용하여 무려 수억 회에 달하는 삭제 요청을 보냈습니다(2024년 12월 기준 전 세계 6위!). 단 하루(2024년 4월 29일) 동안 무려 740만 개의 URL이 삭제 신고되었습니다.

2025년 4월 7일 기준 최신 수치에서도 여전히 220만 건의 신고가 집계되었습니다. 이 주제에 대해 더 깊이 알고 싶은 사람은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연례 불법 유통 백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월에 공개될 예정인(아직 비밀!) 따끈따끈한 6차 백서에서는 카카오가 이제 웹소설 불법 복제자들까지 어떻게 추적하는지 밝혀질 예정입니다.

작년부터 카카오는 구글의 신뢰할 수 있는 저작권 삭제 프로그램(TCRP)에도 참여하고 있으며, 이는 수많은 불법 사이트의 번개 같은 삭제를 의미합니다!

구글 투명성 보고서 – 카카오페이지는 413,153,820개의 URL을 저작권 침해로 신고했습니다.

카카오는 거액의 소송과 서비스 중단 요청에도 주저하지 않습니다. 인기 있는 오픈소스 만화 리더 '타치요미' 개발자들은 이를 뼈저리게 깨달았습니다.

판결이 나왔다! 콘텐츠 마피아를 막으려면 오직 가혹한 처벌뿐!

박전성 총괄의 말은 온라인 강도 행위의 암울한 현실을 보여줍니다. 최첨단 기술과 국제 협력에도 불구하고, 불법 사이트 운영자에 대한 터무니없이 관대한 처벌과 쉽게 우회되는 차단 조치들은 모든 창작자들을 조롱하는 꼴입니다.

징벌적 손해배상과 범죄 수익 몰수를 위한 더 나은 방법을 긴급히 요구하는 것은 법률이 마침내 강력한 변화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해적들이 진정으로 피를 흘릴 때만이 콘텐츠 산업은 공정한 미래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출처: 데일리안

이 기사는 독일어 원문으로 처음 발행되었습니다. 기술적 지원을 받아 번역되었으며, 발행 전 편집 검토를 거쳤습니다. 원본 기사 보기 (독일어)